PrePoMax FEM 의 기본적인 해석을 해보신 분들이라면 비교적 규모가 큰 모델링의 연산도 수행해보고 싶으실텐데요. 그럴 때 활용할 수 있도록 Calculix에서는 Multi core 옵션을 지원합니다. FEM 해석 시 CPU를 멀티로 사용해서 좀 더 빠른 작업이 가능한데요. 바로 이런 부분 때문에 PC 사양이 4코어 이상은 나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FEM CPU 멀티코어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씁니다.
1. PrePoMax Setting 진입
PrePoMax 를 실행합니다. 모델링은 따로 불러오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단 메뉴에 보시면 Tools 하위에 Settings 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이 메뉴에서는 PrePoMax SW의 전반적인 셋팅값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Settings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항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흔히 여러 소프트웨어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구성인데요. General 탭 부터 시작해서, Graphics, Colors, Annotations, Meshing, Pre-processing 외 다양한 옵션작업들을 해볼 수 있습니다.

CPU 병렬연산을 위해서 우리는 Calculix 라는 탭으로 들어가봅니다.
2. 보유 PC 물리 코어 수 확인
Calculix 에 들어가시면 기본적으로 보이는 것이 Work directory (작업 폴더) 부터 Parallelization, Experimental 까지 3가지의 메뉴가 보이는데요.
병렬연산의 경우 Paralleliaation 의 Number of processors 수치를 변경해주시면됩니다.

본인이 보유한 PC 사양에 맞춰서 코어 수치를 늘리시면 됩니다.
윈도우를 사용하고 계실 확률이 높으실것 같은데요.
윈도우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작업표시줄에서 우클릭 후, 아래와 같이 작업관리자로 들어갑니다.

작업관리자에서 성능탭으로 이동하면 CPU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어수는 실제 물리 코어수를 의미하고, 논리 프로세서는 코어의 스레드를 모두 합친 값입니다.
코어수를 확인하고 PrePoMax로 돌아와 멀티코어 수치를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제 PC의 경우 아래와 같이 i9-13900HX 를 사용하는 OMEN 노트북이므로 24코어의 32스레드가 있습니다. 해석을 위한 워크스테이션은 아니지만, 비교적 높은 축의 사양에 속합니다. 코어도 P코어, E코어로 나눌 수 있는데, 저같은 경우는 P코어만 활성화해서 쓰고 있습니다.

3. Calculix Paralleization 조정 (멀티코어 수 입력)
이제 돌아와서 값을 기입해보겠습니다.
저는 Number of preocessors 부분에 1이 아닌 8을 기입했습니다.

각자의 PC에 맞는 물리코어수를 입력하시고 해석을 돌려보시면, 해석 구조에 따라 속도 차이를 분명히 느끼실 겁니다. 대규모 해석일 수록 좀 더 극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FreeCAD FEM Workbench의 경우 Calculix 의 솔버를 Spool 만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어있습니다. (제 경험상) 그래서 병렬연산이 안됩니다. Spool 자체가 CPU를 1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솔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Pardiso 를 사용할 수 있게끔 최적화되어있는 PrePoMax는 FreeCAD 보다 비교적 큰 해석이 가능하도록 병렬연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의문점들은 프리포맥스 포럼을 이용해보셔도 좋겠습니다. 저도 대부분 여기서 궁금한 부분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PrePoMax 에서 멀티코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각자 맡고 계신 프로젝트에서 잘 활용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엔스랩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