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M을 진행하려는 이유 중 하나는 어떤 부품, 혹은 어떤 구조물이 강도와 내구성이 비교적 더 좋을지 예측하는 것이겠죠. PrePoMax에서는 이런 경우 상당히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바로 Using other file이라고 불리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수십번 수백번 해야할 반복작업을 단 몇번의 클릭만으로 줄여줄 수 있으니 꼭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1. 기존 부품 해석 결과 확인
아래와 같이 니은자(ㄴ) 형상의 브라켓에 기본적으로 고정 조건 1개, Load 조건 1개를 적용하여 연산을 수행했습니다.

아마 이전 강좌(해석 기본 강좌 등)를 들어보신 분들은 어렵지 않게 따라해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0.47mm 정도의 변형이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설계적으로 이 변형량이 많다고 판단되었고, 구조를 조금 더 보강하고 싶어서 아래와 같은 형상으로 변경을 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2. 변경 모델링
중간에 리브살이 붙어서, 해석 시뮬레이션을 굳이 해보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충분한 강도가 나와주리라고 예상됩니다. 하지만 무료 FEM 시뮬레이션을 활용한다면 부담없이 빠르게, 처짐 상태와 응력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별도의 PrePoMax 프로그램을 실행(중복으로 실행 가능) 하여 리브살이 추가된 브라켓 모델링파일을 불러와서 형상을 확인합니다. (모델링은 프리캐드로 진행하였음)

Using other file 이라는 기능을 모른다면,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지만, PrePoMax 개발자들이 친절하게 부품을 교체할 때 지오메트리를 자동으로 잡아주고 기존 설정된 것과 동일하게 연산을 진행해주는 기능을 만들어주었습니다.
3. Using Other file
상단 메뉴에서 Edit -> Regenerate History Using Other Files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새로운 파일로 기존 히스토리와 동일하게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해주겠다는 의미인 Regerate History 관련 명령들이 보입니다.


Type 두가지에 따라서 어떻게 regen을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을 묻습니다.
경계조건을 바꾸고 싶다면, FE Model 까지 뽑는 두번째 설정을 하시면 되고요. 연산 결과까지 바로 뽑아보고 싶다면 Regenerate all 을 누르시면 되겠습니다.
OK를 누릅니다. 그럼 탐색기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현재 열려있는 것은 ‘bracket_before’ 파일입니다. 이제 ‘bracket_after‘ 라는 파일로 교체를 해볼 것입니다.

파일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연산이 시작되며, 아래와 같이 바로 결과가 도출됩니다.

최초 리브살이 없던 구조의 처짐은 0.47mm 수준이었습니다만, 리브살이 추가되고 난 후, 변형량이 0.075mm 수준으로 약 1/8배 감소했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한 구조의 추가만으로 강도가 거의 10배 가까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리브 구조가 엔지니어링 관련 여러분야에 사용을 하는 거겠죠.
이해가 잘 안되시는 분들은 아래 화면을 녹화한 영상을 유튜브에 올려두었으니 참고해보시면 되겠습니다.
4. Using other file 사용 시 유의할 점
- 형상의 구조가 많이 변할 경우 지오메트리 내부의 정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솔리드파트가 여러개인 복합체에서 작업을 하게 될 경우, 지오메트리를 못잡을 가능성이 있다.
- 서피스(Shell)가 들어간 모델링은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관련된 메뉴 몇 가지를 더 살펴보겠습니다.
5. Edit History
Edit -> Edit History 를 통해 해당 pmx (프리프로맥스 프로젝트 파일) 내에서 진행된 log 기록 (Command) 의 히스토리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6. Remeshing
Remeshing 작업을 활용하시면, 동일한 모델링에 메시 생성만 다르게 진행하여 연산을 다시해 볼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Redefine Meshing_Prarameters 라는 창이 뜨며 메시 정도를 사용자가 다시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저의 경우 사용할 일이 그리 많진 않지만, 어느 분들께는 유용한 정보가 될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PrePoMax에서 거의 유사한 형상으로 작성된 모델링 2개 이상을 빠르게 비교 및 분석해볼 수 있는 방법인, Using other file 이라는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가지 기준이 되는 형상이 있고, 이 형상 대비 이론적으로 어떤 형태가 더욱 강도가 우수하게 나오는지에 대해서 확인해보고 싶다면, Using other file 기능을 이용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엔스랩이었습니다.